얘기하는 사람

궁금한 이야기를 풀어내고, 소중한 일상을 기록합니다.

자세히보기

과학 Science 16

Unlocking the Secrets of α-Synuclein: A Key to Understanding Its Structural Dynamics

Introductionα-synuclein, a protein predominantly found in presynaptic nerve terminals and nuclei, has captivated researchers for its critical roles in neuronal health and its intriguing structural properties. First identified in the electric ray Torpedo marmorata, its name reflects its localization in the synapse and nucleus. The Synuclein Gene FamilyEncoded by the SNCA, SNCB, and SNCG genes, α-..

과학 Science 2024.12.13

알츠하이머병 항체 치료제 부작용, Amyloid-related imaging abnormalities (ARIA)

Amyloid-related imaging abnormalities (ARIA)는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 환자의 뇌에 amyloid β (Aβ)가 축적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나, 최근 AD 치료제로 등장한 monoclonal anti-Aβ antibody 개발과 승인 과정에서 가장 심각한 부작용으로 대두된 현상이다.  ARIA는 뇌부종을 동반하는 ARIA-E (ARIA-edema/effusion, swelling in the brain)와 출혈을 동반하는 ARIA-H (ARIA-hemosiderosis/microhemorrhages, bleeding in the brain) 두 가지 타입이 있다.MRI scan으로 ARIA-E는 BBB가 손상된 뇌 영역에 체액이..

과학 Science 2024.07.23

알츠하이머병 연관 유전자 변이: Paisa vs. Christchurch

알츠하이머병(AD)은 다면적인 유전적 배경에서 기인하는 복잡한 퇴행성 신경질환이다. 지금까지 AD와 관련된 여러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는데, 그중 'Paisa'와 'Christchurch' 돌연변이로 알려진 두 가지 유전자 변이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Paisa 돌연변이Paisa 돌연변이는 콜롬비아 안티오키아 대학의 '프란시스코 로페라 Francisco Lopera' 교수가 안티오카 주의 Yarumal 지역에서 PSEN1 E280A 돌연변이가 있는 친족 집단을 30여 년간 추적하면서 알려졌다. 이 지역 사람들이 자신들을 Paisa로 부르기에 해당 돌연변이도 Paisa 돌연변이로 알려졌다. 이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은 대략 44세 전후로 경도인지장애 MCI, mild cognitive impairmen..

과학 Science 2024.07.18

동물과 인간 사이의 약물 용량 변환 Dose Conversion Between Animals and Humans

약물 개발에서 동물과 인간 간의 정확한 용량 변환과 최대 권장 시작 용량(MRSD, Maximum Recommended Starting Dose)을 추정하는 것은 임상 시험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신규 화학 물질(NCE, New Chemical Entities)의 인간 대상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하다. 용량은 체표면적(BSA, Body Surface Area), 약리학적, 생리학적, 해부학적 변수, 약동학 파라미터, 대사 기능, 수용체, 수명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동물에서 인간으로 변환되어야 하고, Phase 1 임상 시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용량을 예측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용량이 약물 적용 대상 크기에 따라 어떻게 조정되고 다양한 동물 종 간의 크기 차..

과학 Science 2024.01.08

알츠하이머병: 면역 치료제 vs 화합물 치료제

Aβ는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가 β-secretase와 γ-secretase complexe에 의해 순차적으로 잘리면서 생성되는데,  Aβ가 아밀로이드성으로 뭉치게 되면 synaptic dysfunction, tau tangle 형성, 신경 손실 등이 발생한다. 뇌에서 Aβ가 축적되는 현상은 AD 발병 초기에 중요하게 관찰되기 때문에, Aβ가 축적되는 정도로 AD를 진단하고 Aβ를 치료표적으로 생각해 왔다. AD 치료제 개발 현황현재 AD 치료제 개발은 면역치료 (immunotherapy) 방면으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미 Aducanumab (Aduhelm)과 Lecanemab (Leqembi)이 AD 면역치료제로 승인받은 바 있고, 2016-2022년 사이 면역..

과학 Science 2023.12.15

알츠하이머병: 면역치료와 면역예방

[정리 요약 출처]"Alzheimer's disease: From immunotherapy to immunoprevention"Mathias Jucker and Lary C. Walker. (Cell 186, September 28, 2023)https://pubmed.ncbi.nlm.nih.gov/37729908/인트로레카네맙(lecanemab)[레켐비(Leqembi)]과 도나네맙(donanemab) 같은 단일클론 항체가 뇌에서 비정상적인 β-amyloid (Aβ) 제거를 촉진하고 초기 알츠하이머병 진행을 늦추는 보고가 발표되면서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에 대한 질병 완화 치료가 가능하다는 첫 번째 분명한 임상병리학적 지표가 제시되었다. 아두카누맙(aducanumab[아..

과학 Science 2023.10.13

마우스 행동실험 이해 (II) Understanding mouse behavioral experiments (II)

일전에 몇 가지 마우스 행동실험의 기본 개념에 대해 쉽게 정리했던 내용이 행동실험을 처음 접하는 분들이 실험의 목적과 의미를 이해하는데 미흡하나마 조금 보탬이 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언급하지 않았던 내용 중 재미난 행동실험 몇 가지를 더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번에도 행동실험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Nesting behavior '둥지 nest를 만드는 행동'이라는 뜻인데, 재밌게도 설치류에서는 둥지를 만드는 습성이 있습니다. 시골에서 자라신 분들은 들판에 지푸라기나 마른 풀잎이 공처럼 동그랗게 뭉쳐있는 것을 보셨을 텐데 바로 들쥐들의 보금자리이지요. 이러한 습성은 마우스의 '사회성social behavior'을 가늠하는 척도로 실험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과학 Science 2023.04.08

마우스 행동실험 이해 Understanding mouse behavioral experiments

사람들이 동물을 이용해 행동 실험을 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사람을 이용한 임상실험이 가져다주는 부담 요소가 가장 크게 작용할 것입니다. 여기에는 실험과정에서 피실험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성을 완벽하게 배제할 수 없는 이유와 실험에 적합한 조건을 갖춘 많은 피실험자와 그에 따른 제반 요건을 갖추는데 필요한 적잖은 노력과 비용의 문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뇌과학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관심사는 우리의 고차원적인 의식 수준에 대한 의문이 많기 때문에 우리와 말이 통하지 않는 동물들의 행동을 관찰하여 그들의 의지와 감정을 유추해 낸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사람을 이용한 행동실험을 할 때에는 오히려 피실험자의 주관이 실험과정에 개입되지 않도록 피실험자를 정교하게 ..

과학 Science 2023.04.08

NASA가 하는 일이 신기한 생명과학 전공자: SpaceX Crew Dragon + Falcon 9

시간대가 잘 맞아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SpaceX의 Crew Dragon 발사 과정을 쭉 지켜보면서 감탄과 감동을 금치못했습니다. 10초 카운트 다운을 끝으로 엄청난 화염을 뿜으며 천천히 떠오르고, 거의 1분 30초 정도만에 엄청난 속도로 대기권을 돌파하고, 1단 로켓이 분리되고, 2단 로켓이 점화되고, 떨어져 나간 1단 로켓이 다시 재진입해 대서양 위 타겟에 안착하기까지 10분도 걸리지 않았습니다만 이 모든 과정이 라이브로 중계되는 걸 보고 있으니 정말 기가막히게 멋지더군요. 인류가 만들어낸 가장 경이적이고 놀라운 공학 메카닉 라이브 쇼를 감상한 것 같았지요. 정말 영화같은 장면들을 보면서 새삼 공학 엔지니어링의 위대함을 실감했습니다. 그리고 일단 올라가면 서너 시간이면 우주정거장 ISS에 도킹하는 줄..

과학 Science 2023.04.02

붉은 머리카락 이야기, RED: A History of the Redhead

한국인을 비롯한 대부분의 아시아인들은 검은색 혹은 갈색빛이 감도는 검은색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지요. 물론, 아프리카계 사람들과 아메리카 원주민들도 대부분 흑발입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들 집단에 속한 사람들의 머리카락은 대부분 검은색입니다. 인구 대비 굉장히 균일한 특징이지요. 반대로 유럽인이나 북미 백인들의 머리카락 색을 보면 우리에 비해 놀랍도록 총천연색입니다. 지금 저는 미국에서 연구원 생활을 하고 있는데, 단적으로 여기 연구실 구성원들만 봐도 머리카락 색깔이 다 다릅니다. PI는 완전 노란 금발(blond), 캘리포니아에서 온 친구는 신기하게도 일부러 염색한 것처럼 어두운 색이 섞인 금발(ash blond), 시카고에서 온 친구는 물 빠진 금발, 메인주에서 온 아저씨는 은발과 금발의 중간, ..

과학 Science 2023.04.02

영화 엑스페리먼트 (The Experiment, 2010)에서 묘사된 루시퍼 이펙트 (Lucifer Effect)

1971년 세계적인 심리학자 '필립 짐바르도'가 수행한 '교도소 실험(Stanford Prison Experiment)'을 영화화한 것으로 2001년 독일판 'Das Experiment'를 리메이크한 2010년 헐리우드 판 작품. 실제 Stanford에서 수행한 이 실험은 당시 인간 본성에 대한 충격적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사람이 무슨 '옷'을 입고 있느냐에 따라 그 '행동'이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놀라운 이야기. 우리가 흔히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라고 하는데, 이는 자신이 속해 있는 집단의 성격 또는 집단 내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에 따라 그 사람의 행동이 '의미있게 변화'하는 것을 뜻한다. 심리학에서 '루시퍼 이펙트(Lucifer Effect)'라고 부르는 이 현상은 집단체제 속에서 ..

과학 Science 2023.04.02

총, 균, 쇠...인류 문명의 불균형에 대한 고찰

극지방과 사막을 제외한 지구상 대부분에는 다양한 모습의 인류 문명이 존재한다. 극지방과 사막에도 소수의 사람들이 극한의 문명을 일구며 살고 있다. 닮은 듯 다른 모습을 한 인류는 지구상 곳곳에서 천태만상의 모습으로 삶을 꾸려나가고 있다. 이들의 모습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보거나 지구촌 곳곳에서 들려오는 뉴스를 접해 들으면 문득 몇 가지 의문이 생긴다.  소위 서구화된 사회에서는 먹을 것이 넘쳐나는 마당에 왜 아프리카나 아시아 일부 국가는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할까? 불과 400년 전 무주공산이던 북아메리카 대륙에 이주한 유럽인들이 어떻게 짧은 시간 미국과 같은 초일류 국가를 건설했을까? 왜 유럽인들이 식민지화하기 전까지 세계 각지의 원주민들은 고도의 발전된 국가 단위 사회를 발달시키지 못했을까? 광활한 태평..

과학 Science 2023.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