얘기하는 사람

끄적끄적

자세히보기

문명 2

문명의 붕괴 Collapse, 재레드 다이아몬드 2004

문명의 붕괴(Collapse) 세세한 설명과 방대한 예를 첨부해 마치 연구 용역 보고서처럼 두꺼운 책이라 가끔 지루한 부분도 없지 않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역사에 등장했다가 사라진 여러 문명의 수수께끼를 충실하게 보여 준다.책에서 여러 가지 문명의 예시를 보여주었는데유럽인이 진출했지만 각기 다른 결과를 가져온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페로 제도의 정착 이야기와하나의 섬 속에서 판이하게 다른 두 나라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의 이야기가 가장 흥미로웠다.각각의 경우 그들이 접한 문제가 다 달랐지만 결국에는사람들이 자연환경에 어떻게 적응하고, 자원과 식량을 어떻게 조절하며 지속가능하게 하는지때로는 다른 민족, 문명과의 관계 정립을 어떻게 이루어 나가는지가 문명이 지속할 수 있는 중요한 요건이 된 듯하다.이미..

총, 균, 쇠...인류 문명의 불균형에 대한 고찰

극지방과 사막을 제외한 지구상 대부분에는 다양한 모습의 인류 문명이 존재한다. 극지방과 사막에도 소수의 사람들이 극한의 문명을 일구며 살고 있다. 닮은 듯 다른 모습을 한 인류는 지구상 곳곳에서 천태만상의 모습으로 삶을 꾸려나가고 있다. 이들의 모습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보거나 지구촌 곳곳에서 들려오는 뉴스를 접해 들으면 문득 몇 가지 의문이 생긴다.  소위 서구화된 사회에서는 먹을 것이 넘쳐나는 마당에 왜 아프리카나 아시아 일부 국가는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할까? 불과 400년 전 무주공산이던 북아메리카 대륙에 이주한 유럽인들이 어떻게 짧은 시간 미국과 같은 초일류 국가를 건설했을까? 왜 유럽인들이 식민지화하기 전까지 세계 각지의 원주민들은 고도의 발전된 국가 단위 사회를 발달시키지 못했을까? 광활한 태평..

과학 Science 2023.04.02